상단영역

  • 2024-05-31 17:36 (금)
  • 로그인
  • 회원가입
  • 제보

본문영역

현대 아반떼 N에 적용된 특별한 기술, 무려 43가지?

  • 기사입력 2021.07.19 10:05
  • 기자명 김예준 기자

[오토트리뷴=김예준 기자] 현대가 아반떼의 고성능 모델인 아반떼 N을 공개했다. 고성능 모델인 만큼 무려 일반 모델과 달리 대대적인 변화를 갖는다. 아반떼 N에 적용된 고성능 특화 기술 43가지를 소개한다.

▲현대 아반떼 N 휠과 브레이크 시스템(사진=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 N 휠과 브레이크 시스템(사진=현대자동차)

1. AG(Air Guide, 에어 가이드)
제동 중에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해 아반떼 N에는 에어 가이드가 적용됐다. 에어 가이드는 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브레이크 쪽으로 직접 향해 제동 시 발생하는 열을 식혀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 에어 가이드는 최근 현대가 압도적인 기량을 보이고 있는 모터스포츠 경험에서 비롯된 기술이다.
 
2. DCH(Dust Cover cooling Hole, 더스트 커버 쿨링 홀)
브레이크 냉각 성능 향상을 위해 적용됐다. 아반떼 N에는 더스트 커버가 적용됐고, 그 더스트 커버는 크기를 최소화시키면서도 냉각 성능 저하가 없도록 주요 부분에 구멍을 뚫었다.
 
3. LBD(Larger Brake Disc, 라저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크기를 키워 확실한 제동성능의 향상을 이뤘다. 아반떼 N에는 360mm로 증대된 디스크가 적용됐고 이와 함께 부스터의 크기도 키워 열용량과 제동 성능도 향상시켰다. 더 넓어진 타이어까지 적용돼 아반떼 N의 제동성능은 동급 최고 수준을 달성했고, 별도의 튜닝이 없더라도 서킷 주행에 자신감을 더해준다.
 
4. HBP(High friction Brake Pad, 하이 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계수와 FADE(페이드)가 개선된 재질의 브레이크 패드가 적용돼 고속 제동 시 브레이크 반응성을 극대화하고 동일 수준의 제동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 아반떼 N 전면(사진=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 N 전면(사진=현대자동차)

5. PF(Pre-Fill, 프리 필)
지속적인 브레이킹과 급작스러운 제동 상황은 브레이크의 한계 상황을 맞닥뜨리기 쉽게 만든다. 이를 막기 위해 아반떼 N에는 브레이크 유압을 미리 채워 제동 응답성을 높여 즉각적인 제동을 가능하게 했다.
 
6. CO(Creep Off, 크립 오프)
변속기 D 모드 시 브레이크를 밟지 않더라도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으로써 레이스에서 정지 상태 출발 시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도 그리드 대기가 가능하도록 했다.
 
7. LB(Left foot Braking, 왼발 브레이킹)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동시 조작 시 제동이 우선시 되는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기능을 해제 시켜 트랙과 같은 한계 주행이 필요한 상황에서 브레이크와 가속 페달 조작이 동시에 허용되도록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기능이 해제되는 만큼 까다로운 작동 조건이 요구된다. 1. 스포츠 및 N 모드 2. ESC 비활성화 3. 변속레버 수동모드 등 모든 조건이 만족될 시에만 활성화시킬 수 있다.

▲현대 아반떼 N 운전석(사진=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 N 운전석(사진=현대자동차)

8. FP(Flat Power, 플랫 파워)
고 RPM 영역에서 발휘되는 최대 출력을 지속시켜 고속 구간에서 빠른 엔진 반응성을 보이도록 만들어 더욱 역동적인 주행이 가능케 했다.
 
9. NPS(N Power Shift, N 파워 시프트)
DCT 모델에 적용된 사양으로 고단 변속 시 엔진 토크를 최대화하여 가속 성능 향상과 의도된 변속 충격으로 레이스카와 같은 역동적인 변속감을 제공한다.
 
10. NTS(N Track Sense Shift, N 트랙 센스 시프트)
트랙 주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직선 및 코너 구간에서 최적의 기어와 변속 타이밍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변속을 최소화하고 최적 RPM 주행을 유도하여 트랙 주행 감성의 만족감을 극대화한다.
 
11. SPD(Shift Pattern Differentiation, 시프트 패턴 디퍼렌시에이션)
주행 모드 별 변속 패턴을 달리해 각 모드와 운전자 필요에 따른 최적의 변속이 가능하다.
 
12. NGS(N Grin Shift, N 그린 시프트)
NGS 모드가 활성화되면 허용 변속의 최저단으로 기어가 즉시 변속돼 20초 동안 오버 부스트 모드가 활성화돼 최고출력이 10마력 더 높아진다. NPS와 함께 작동되며 기존 3분에서 40초로 크게 낮아진 작동 간격으로 인제 서킷에서는 매 랩당 최소 1회 이상 NGS 기능 활성화가 가능해졌다.
 
13. LC(Launch Control, 런치 컨트롤)
가속력 최적 제어와 클러치 제어 최적화로 최적의 가속력을 발휘하게 만드는 런치 컨트롤 기능을 통해 일반 가속보다 0-100km/h의 가속 시간이 0.3초 더 단축된다.
 
14. TO(Turbine Optimization, 터빈 옵티미제이션)
터빈의 크기를 기존 47mm에서 52mm로 증대시켰고 터빈의 유로도 10㎟에서 12㎟로 확장시켜 엔진의 성능이 향상됐다.
 
15. ETM(Engine TM Mout, 엔진 TM 마운트)
엔진 및 변속기 마운트에 스토퍼 크기 증대 및 형상 최적화를 통해 핸들링 응답성을 극대화했고, 불필요한 롤과 요 거동도 최소화시켰다.
 
16. REV(Rev Match, 레브 매치)
주행 중 변속 시 엔진과 변속 회전수를 일치시켜 자동으로 힐앤토 효과 구현한다. 이를 통해 변속 충격과 불필요한 거동도 최소화된다.

▲현대 아반떼 N 측면(사진=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 N 측면(사진=현대자동차)

17. TSC(Torque Steer Control, 토크 스티어 컨트롤)
급 가속시 구동 휠의 좌우 토크 차이로 인한 스티어링 휠의 과도한 비정상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주행감을 구현한다.
 
18. SSM(Steering Solid Mounting, 스티어링 솔리드 마운팅)
조향 응답성을 개선하기 위해 서브 프레임과 R-MDPS 시스템이 결합돼 스티어링 응답성은 물론 고속 및 카운터 조타도 개선됐다.
 
19. 4BE(4 points underbody Enhancement, 4 포인트 언더바디 인헨스먼트)
차체 하부에 보강재를 적용해 차체 강성 확보와 R&H(라이드&핸들링)의 성능도 극대화됐다.
 
20. RSB(Rear Stiff Bar, 리어 스티프 바)
4BE와 마찬가지로 R&H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H 모양의 빨간색 리어 스티프바가 기본 적용돼 기본 모델보다 29% 더 향상된 비틀림 강성을 확보했다.
 
21. 4SR(4 point Strut Ring, 4 포인트 스트럿 링)
모터스포츠에서 활용하는 스트럿 링 구조를 통해 서스펜션과 차체를 4점식으로 연결하여 횡강성 및 입력점 강성을 증대시켰다.
 
22. IDA(Integrated Drive Axle, 인티그레이티드 드라이브 액슬)
WRC 랠리카의 액슬 일체형 기술을 접목하여 횡강성 향상 및 한계 주행 성능을 개선했다. 이와 함께 약 1.73kg의 대당 무게 절감과 NVH의 품질도 개선됐다.
 
23. DCB(Dual Compound Bush, 듀얼 컴파운드 부시)
극한의 주행 성능만 고려하다 보면 일상적인 영역에서는 불쾌감이 클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아반떼 N의 컴파운드 부시에는 두 가지 다른 특성을 적용시켰다. 승차감에 영향을 미치는 전후 방향에는 부드러움을 핸들링에 영향을 미치는 좌우 방향에는 단단함을 부여해 승차감과 핸들링까지 최적화했다.
 
24. TFM(Torque Feedback R-MDPS, 토크 피드백 R-MDPS)
R-MDPS에 토크 피드백 로직을 새롭게 적용하여 모든 주행 조건에서 조타 시 일관성과 정밀도를 개선했다. 덕분에 극한의 코너링 상황에서도 정확한 조향이 가능하다.

▲현대 아반떼 N 운전석(사진=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 N 운전석(사진=현대자동차)

25. ECS(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전자제어 서스펜션)
아반떼 N에는 2세대 ECS가 적용됐다. 2세대 ECS는 속력, 운전자 제어, 노면 상태 또는 주행 모드에 따라 감쇠력을 조정하여 더 나은 주행 성능을 보장한다. 넓은 서스펜션 세팅 범위는 일상부터 서킷까지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26. ELSD(Electronic Limited Slip Differential, E-LSD)
E-LSD 기술이 적용된 N Corner Carving Differential(N 코너 카빙 디퍼렌셜)은 좌우 바퀴의 구동력 최적 제어를 통해 언더스티어를 최소화하여 선회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며 구동력 손실도 보완한다.
 
27. NES(N Electronic Stability Contol, N 일렉트로닉 스테빌리티 컨트롤)
N 전용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로직은 선회 주행 시 리어 슬라이딩 느낌을 제공하여 코너에서의 스릴과 재미를 극대화해준다.
 
28. AK(Aluminum Knuckle, 알루미늄 너클)
최적의 움직임을 위해 아반떼 N에는 알루미늄 너클이 적용됐다. 덕분에 더욱 정교한 움직임을 선보인다.
 
29. GB(G-Bush, G-부쉬)
날카롭고 정확한 핸들링 성능을 위해 로어 암 부시가 최대 한계 성능까지 강화됐다. 이는 타이어 폭 증대에 따른 승차감 마진까지 알뜰하게 활용한 퍼포먼스 향상 중 일부다.
 
30. DA(Duct-Style airguard, 덕트 스타일 에어가드)
아반떼 N에는 덕트형 에어가드가 적용돼 라디에이터 냉각 성능이 극대화됐다. 이와 함께 공력, 연비, 최고 속도까지 개선됐다.
 
31. RRC(Rear Resonance Control, 리어 레소넌스 컨트롤)
차체 후륜 멤버에 공진 제어기가 적용돼 노면 소음과 진동이 개선돼 뒷좌석에 편안함을 제공한다.
 
32. UBS(Upshift Bang Sound, 업시프트 뱅 사운드)
고단으로 기어 변속 시 감성적인 만족도를 위해 엔진 부분 기통 연료컷 및 능동가변배기 제어가 적용됐다. 덕분에 모터스포츠에서 들을법한 역동적인 변속 사운드를 아반떼 N에서 경험할 수 있다.

▲현대 아반떼 N의 N 라이트 버킷 시트(사진=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 N의 N 라이트 버킷 시트(사진=현대자동차)

33. NSE(N Sound Equalizer, N 사운드 이퀄라이저)
N 사운드 이퀄라이저는 가상 엔진 사운드로 운전자는 스포티, 하이 퍼포먼스, TCR 모드 중 원하는 사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취향대로 음역별 세부 사항 조정이 가능한 이퀄라이저 기능도 함께 적용된 진화된 가상 엔진 사운드다.
 
34. LVE(Linear Variable Exhaust Valve System, 리니어 베리어블 이그저스트 밸브 시스템)
N 배기음은 매 순간 최적의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3단 제어 밸브에서 0에서 100까지 모든 각도로 제어가 가능한 선형 제어 밸브 시스템으로 변경됐다. 덕분에 노멀 모드 공회전 시 부밍음 저감되고, 동시에 N의 압도적인 사운드는 유지시켜 운전자의 즐거움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현대 아반떼 N 후측면(사진=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 N 후측면(사진=현대자동차)

35. 3BS(3 Bridged Spoiler wing, 3 브릿지드 스포일러 윙)
아반떼 N에는 윙 타입 스포일러가 적용됐고 이를 통해 기본 모델 대비 1.25배 높은 다운 포스를 형성할 수 있게 됐다. 높아진 다운 포스는 고속 주행 시 안정성과 코너링 시 빠른 코너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36. UBO(UnderBody Optimization, 언더바디 옵티미제이션)
주행 시 차체 하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개선을 통해 고속 주행 밸런스를 강화했다.
 
37. LW(Low & Wide design, 로우 앤 와이드 디자인)
반광 블랙펄의 전면부와 립 스포일러, 리어 디퓨저, 넓어진 타이어의 조합은 아반떼 N의 ‘로우 앤 와이드(Low & Wide)’ 자세를 더욱 극대화한다.
 
38. LSP(Lowest Seat Position, 로우이스트 시트 포지션)
아반떼 N은 N 라이트 버킷 시트 적용 시 기본 모델 대비 10mm 낮아진 시트 포지션을 구현해 무게중심고를 낮추고 자동차와 운전자의 일체감을 향상시킨다.
 
39. RSR(Rear Seat Roominess, 리어 시트 루미네스)
아반떼 N은 동급 최고의 공간성을 구현해 실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했다. 특히 N 라이트 버킷 시트 적용 시 시트 백 두께가 50mm 더 축소돼 더 넓은 2열 거주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40. WT(Wider Tire, 와이더 타이어)
아반떼 N에는 N 전용 245/35ZR/19 사이즈의 미쉐린 파일럿 스포츠 4S 타이어가 기본 적용돼 강력한 코너링 성능에 일조한다.

▲현대 아반떼 N 라디에이터 그릴(사진=현대자동차)
▲현대 아반떼 N 라디에이터 그릴(사진=현대자동차)

41. LDI(Lightweight Direct Intake, 라이트웨이트 다이렉트 인테이크)
흡기 개선을 위해 재설계된 에어 인테이크 시스템은 흡압을 10.6% 개선했을 뿐만 아니라 895g의 무게도 절감시켰다.
 
42. NI(New Infotainment system, 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아반떼 N에 적용된 신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다양한 주행 정보를 운전자에게 가독성 있게 보여준다. 트랙에서는 운전자의 위치를 추적해 자동으로 실시간 주행 정보를 기록한다.
 
43. HNA(Hyundai N App, 현대 N 앱)
현대 N 앱은 속력, 랩타임 G-포스 등 다양한 종류의 주행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한다. 또한 국내 소재 서킷 별 랭킹 시스템을 적용해 다른 사람들과 기록 비교를 게임처럼 할 수 있다. 주행 스킬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아반떼 N은 7월 14일 출시됐으며, 시작 가격은 3,212만 원이다.
 
kyj@autotribune.co.kr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실시간 추천기사
현대 아반떼 N 이후 공개될 신차는 전동화 모델?
아우디 RS 5 스포트백 국내 출시, 가속성능 3.9초!
쌍용차, 중형 SUV J100 예상도 공개... "정통 오프로더의 부활?"
출시 임박한 쉐보레 볼트 EV-EUV, “기대되는 전기차 시장의 다크호스”
폭스바겐 티록, 큰형님들 사이에서 '수입차 판매량 1위' 기록

개의 댓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4617作文网孟令起名字周公解梦 梦到买鞋子电气起名做餐饮起名快餐连锁店起名周公解梦天崩地裂医疗器械公司起名参考周公解梦被杀四笔起名的吉利字起个女生英文名含水和木男孩起名大全我们都是追梦人舞蹈分解动作姓徐的女孩起名大全集起名刘宇卤菜店起什么好听的名字名字起昵称周易生辰八字取名字免费谷姓女孩起名2020年起名字姓温女孩姓戴的起名大全周公解梦梦见住酒店成起名字大全男孩钱氏宝宝起名四川起义将领名单帮我孙子起个名字夫妻相配八字算命覃姓的女孩起名字姓谢起名称3月的鼠宝宝起什么名字校车公司起名淀粉肠小王子日销售额涨超10倍罗斯否认插足凯特王妃婚姻让美丽中国“从细节出发”清明节放假3天调休1天男子给前妻转账 现任妻子起诉要回网友建议重庆地铁不准乘客携带菜筐月嫂回应掌掴婴儿是在赶虫子重庆警方辟谣“男子杀人焚尸”国产伟哥去年销售近13亿新的一天从800个哈欠开始男孩疑遭霸凌 家长讨说法被踢出群高中生被打伤下体休学 邯郸通报男子持台球杆殴打2名女店员被抓19岁小伙救下5人后溺亡 多方发声单亲妈妈陷入热恋 14岁儿子报警两大学生合买彩票中奖一人不认账德国打算提及普京时仅用姓名山西省委原副书记商黎光被逮捕武汉大学樱花即将进入盛花期今日春分张家界的山上“长”满了韩国人?特朗普谈“凯特王妃P图照”王树国3次鞠躬告别西交大师生白宫:哈马斯三号人物被杀代拍被何赛飞拿着魔杖追着打315晚会后胖东来又人满为患了房客欠租失踪 房东直发愁倪萍分享减重40斤方法“重生之我在北大当嫡校长”槽头肉企业被曝光前生意红火手机成瘾是影响睡眠质量重要因素考生莫言也上北大硕士复试名单了妈妈回应孩子在校撞护栏坠楼网友洛杉矶偶遇贾玲呼北高速交通事故已致14人死亡西双版纳热带植物园回应蜉蝣大爆发男孩8年未见母亲被告知被遗忘张立群任西安交通大学校长恒大被罚41.75亿到底怎么缴沈阳一轿车冲入人行道致3死2伤奥运男篮美国塞尔维亚同组周杰伦一审败诉网易国标起草人:淀粉肠是低配版火腿肠外国人感慨凌晨的中国很安全男子被流浪猫绊倒 投喂者赔24万杨倩无缘巴黎奥运男子被猫抓伤后确诊“猫抓病”春分“立蛋”成功率更高?记者:伊万改变了国足氛围奥巴马现身唐宁街 黑色着装引猜测

4617作文网 XML地图 TXT地图 虚拟主机 SEO 网站制作 网站优化